분류 전체보기44 정부24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발급 방법 실물 주민등록증 없이도 성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발행일, 주민등록기관 등 주민등록증에 수록된 사항을 휴대폰 정보24 앱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발급 방법과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효력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정의 실물 주민등록증이 없어도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정부24 앱)을 통해 동일한 효력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로, 간편하게 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도용 및 대여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 1대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서비스 발급 방법 정부24 앱 설치 : Android(Google Play, 원스토어), iOS 정부24 앱 로그인 후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클릭 통신사.. 2022. 9. 21. 2023년 최저시급 확정, 최저임금은 어떻게 달라지나? 2023년 최저시급 확정, 최저임금은 어떻게 달라지나?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2022년 대비 5.0%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 인상 대비 최저임금이 어떻게 달라지는 확인 해 보겠습니다. 최저임금제란? 국가가 노사 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3년에 '근로기준법'을 제정하면서 제34조와 제35조에 최저임금제의 실시 근거를 두었으나, 실질적으로는 1986년.. 2022. 9. 7.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은 2022년 7월 1일 기준으로 교통약자인 임산부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하여 건강한 출산을 지원하고 출산 가정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출산 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임산부에 해당되며 외국인은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은? 지원내용 - 임산부 1인당 교통비 70만원 지원 - 임산부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교통 포인트 지급 지원 대상 - 신청일 현재 6개월이상 계속하여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임산부(외국인 제외) 신청 기한 - 임신 3개월(12주차) ~ 출산후 4개월 * 2022년 7월 1일 이전 출산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 교통.. 2022. 9. 7. E-심(eSIM) 서비스로 듀얼폰 사용하는 방법 E-심(eSIM) 서비스로 듀얼폰 사용하는 방법 2022년 9월 1일부터 한 개의 폰으로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이심(eSIM)'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이는 개인용과 업무용을 나누어 쓸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사생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전의 투넘버 서비스와 이심 서비스는 비슷하나 완전히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e-SIM 서비스를 사용하면 스마트폰 상단에 두개의 안테나가 표시됩니다. 해외 출시 스마트폰은 듀얼심(두 개의 유심)을 사용하여 이용이 가능하지만, 국내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한 개의 유심과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e-SIM'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제공합니다. 서비스 가능 통신사 SK텔레콤 KT LG 유플러스 알뜰폰 제공 통신사 서비스 가능 스마트폰 기종 삼성전자 갤럭시 Z플립 4.. 2022. 9. 5. 이전 1 ··· 7 8 9 10 11 다음 728x90